작업을 하던 게임을 하던 우리 몸의 부위중 손목은 언제 어디서든 아주 많이 사용됩니다.
특히 컴퓨터를 이용하는 시간이 많은 직업을 가지고 있는 분들이나,
집안일을 거의 전담하여 맡고 있는 전업주부 분들이 쉴 새 없이 사용하게 되는게 손목이죠.
어떤 물건이든 오래, 많이 사용할수록 낡고 해지기 마련입니다.
우리 몸 또한 그렇습니다.
일반 물건들과 다른점이 있다면,
손상될 경우 우리 몸이 통증을 유발해 몸에 문제가 생겼다는 적신호를 보낸다는 겁니다.
결국 손목을 많이 사용하다보니 손상이 되어 통증이 발생하는 것이죠.
손목을 사용하는 방법에는 여러가지가 있는데요,
그 중에서도 통증을 유발하기 쉬운 행동들을 먼저 알아봅시다.
1. 손목을 책상 끝에 대고 사용한다.
디지털 산업이 발달하면서 컴퓨터를 이용하는 일이 굉장히 많아졌습니다.
그러다 보니 이 일을 하는 직업을 가진 사람들은 오랜 시간동안 컴퓨터 앞에 앉아있게 되는데요.
이 때 손목이 아프지 않기 위해서는 손목의 위치를 신경써야합니다.
가끔 키보드와 마우스를 책상의 거의 끝에 두고서,
거기에 손을 얹고 팔이 떠있는 상태에서 사용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렇게 될 경우 오로지 손목의 힘으로만 팔의 무게를 견뎌야 하기 때문에,
손목에 무리가 가기 쉽상이죠.
2. 한손으로만 청소를 한다.
당신이 무의식적으로 한쪽 손만을 이용해서 청소를 하고 있을지도 모릅니다.
청소 할 때의 자신을 돌아보거나 지금 평소처럼 청소를 해보세요.
진공청소기를 잡고 있을때나 걸레질을 할 때나 한쪽 손만 이용한다면 문제가 됩니다.
청소를 할 때 바닥을 밀면서 마찰력이 생기는데,
이 때 생기는 무게는 걸레나 청소기를 위로 들어올렸을 때 보다 훨씬 무겁습니다.
3. 그 외 수많은 일들
무거운 물건을 드는 일이 많은 직업을 갖고있거나,
한 가정의 집안일을 대부분 맡아 하는 전업주부 분들은 손목을 자주 사용합니다.
그것도 일반인들 보다 몇 배 이상으로요!
당연히 손목은 더 빠르게 손상될거고,
그로 인해서 통증이 생기는데 일을 포기하지 않는 이상 통증을 달고 살아야 할겁니다.
그럼 손목이 아플 때 어떻게 하는게 좋을까요?
1. 팔을 받칠 곳을 두세요.
컴퓨터를 이용한다면 키보드와 마우스를 책상 끝 보다는 좀 멀리두어 사용하세요.
공간이 없다면 팔 받침대가 있는 의자를 이용해도 좋습니다.
손목과 팔이 일직선이 되게 해서 체중을 고르게 받도록 해주세요.
손목에 무리가 가지 않도록이요!
그리고 일반 마우스랑은 다르게,
옆으로 잡고 사용하는 버티컬 마우스를 사용해보시는 것도 추천드려요.
2. 양손을 번갈아가면서 사용하세요.
무슨 일을 하던 한쪽 손만 이용하는 것을 자제하세요.
한손만을 이용하는 것이 습관으로 되어 있다면 손목 건강을 위해 고쳐야합니다.
양손이 고르게 부담을 받을 수 있도록,
5분 정도마다 손을 바꿔가며 사용해주면 좋습니다.
3. 손목 스트레칭을 해보세요.
손을 위로가게, 밑으로 가게 하면서 손목 스트레칭을 해주세요.
통증이 있다면 무리해서 하시면 좋지 않습니다.
아프지 않은 선에서 손목을 자주 스트레칭 해서 풀어주면,
손목 주위 근육이 발달하고 유연해지면서 손목 건강이 좋아집니다.
일을 하며 생기는 통증도 어느정도 예방할 수 있어요!
사실 어딘가가 아프다는 것은,
부상을 당하지 않은 이상 너무 많은 일을 해서 그렇다고 할 수 있습니다.
아플 땐 조금 쉬며 여유를 가지고 몸이 회복할 시간을 주는 것도 좋아요!
위 방법들도 참고하셔서 여러분들께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독자분들의 손목건강이 좋아지시길 바라며, 또 좋은 글로 찾아오겠습니다.
당신의 건강을 챙겨주는 세콧이었습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마트폰 없인 못 살아요 ㅠㅠ 스마트폰 중독 증상, 해결방법 (0) | 2021.04.09 |
---|---|
내일 아침 일찍 나가야 하는데.. 불면증? 잠이 안올때 대처법, 빨리 잠드는 법 (0) | 2021.04.08 |
계단을 오르는데 왜 아프지? 무릎 통증 원인, 주의할 점 (0) | 2021.04.06 |
어제 너무 무리했나봐요.. 몸살 났을때 대처법, 빨리 낫는법 (0) | 2021.04.05 |
머리가 너무 짧은 것 같은데.. 머리 빨리 기르는 법 (0) | 2021.04.04 |